(산야토마스의 그립백내용중 중요사항다수)
: 쉴드의 크기가 블록할 확률에 영향을 미칩니까?
A: 아니요, 쉴드의 크기는 다수로부터 공격을 받을때, 몇명까지 방어할수 있는 가에 관여합니다. 스몰은 1명, 미디엄은 2명, 라지는 3명까지 방어가 가능합니다.
Q: 쉴드에 관계되는 전투스타일(슬램 등)을 싸용할때, 캐릭터정보창에 나오는
원핸무기스킬이 관여됩니까? 아니면, 캐릭터정보창에는 나오지 않는 숨은
쉴드 스킬같은 것이 존재합니까?
A: 쉴드스킬스펙레벨과 덱스를 기반으로 쉴드스킬이 결정됩니다.
Q: 쉴드 데미지 (예를 들면 배쉬를 사용할 경우) 가 기본 무기스킬의 영향을 받습니까?
A: 배쉬를 사용할때, 당신의 쉴드스킬이 그 데미지를 결정하게 될것입니다.
: 저는 30렙의 팔라딘인데, 망치를 들때보다 칼을 들때 더 패리를 잘하는 것같습니다.
무기타입이 패리에 영향을 미칩니까?
A: 무기의 스타일(이건 세비지와 베일워커등 특수스타일을 말하는 겁니다)은 패리/블럭/이베이드에 영향을 미칠수 있지만, 무기는 그렇지 않습니다.
Q: 무기나 공격적인 스펠라인을 50을 주는 것과 39를 주고 아이템으로 +11올리는 것은
어떤것이 더 좋죠?
A: 명확한 답변은 드릴수가 없습니다. 어떤것이 좋냐는 당신의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달라집니다.
솔로윙? 그룹플레이? 던젼에서 자주 싸우거나, 일반 필드에서 싸우거나, PVE를 많이 하거나
PVP를 하거나.. 등등
단 한가지, 순수50은 좀더 많은 기술이나 주문을 얻을수 있다는 점에서는 이익입니다.
명백히 말하면 50과 39+11의 데미지는 동일하며, 순수50의 경우 거기에 11을 더 올릴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데미지를 줄수 있을 것입니다.
남는 포인트로 다른 곳을 올리기 위해, 많은 사람들은 39+11의 형태를 선호합니다.
중요한 점은 이것은 선택에 관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Q: RA로 세레니티4를 배웠고, 마나리젠5기술 엠파워링 퍼펙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나는 마나리젠9를 가지게 되는것입니까?
A: 스펠디자이너에 따르면, 세레니티는 파워리젠버프에 스택가능하다고 합니다.
Q: 레지와 이뮨타이머에 대해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A: 만일 어떤 주문을 캐스팅하면, 그에 대한 이뮨타이머가 결정됩니다.
해당 주문의 효과가 없어진이후 60초간의 이뮨타임동안에는 다른 주문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각각 (타입의) 주문은 고유의 이뮨타이머를 가지고 있으며, 이뮨타이머가
모든 스펠에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모든 CC스펠에는 붙어있습니다.)
예: 힐러가 스턴주문을 당신에게 겁니다. 이제 스턴효과가 없어진후 60초간은 다른 힐러에
의해 스턴이 되지 않습니다.
스턴이후, 힐러가 메즈를 걸면, 이 메즈가 끝난후 메즈에 대해 60초간의 이뮨타임을 가지게 됩니다.
Q: 미드가드 투핸드는 원핸에 대해 ~+15%의 보너스를, 그리고 히베와 알뵨은 원핸에 비해
+40까지 보너스를 받는다는데 이것은 올바른 이야기입니까?
A: 많은 사람이 말한것이라도, 경계하기 바랍니다.
많은 사람들이 틀린것을 알고 있거나, 그다지 많은 사람들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암튼, 대답은 모든 투핸은 10%의 보너스를 가지게 되고, 거기에 스펙을 얼마나 투자하냐에
따라 거기에 보너스를 추가로 받게 됩니다.
Q: 와일드 아카나는 힐러에게 아무런 효용도 없습니다.
헤이스트디법이나 루트,메즈,스턴에 대해 크리가 터지지 않습니다.
A: 헤이스트디법에는 크리가 터집니다. 안터진다면, 버그입니다.
Q: 스펠아머에 +팩 스킬을 박는것이 어떠한 도움이 됩니까?
A: 데미지나 힐에 대한 변동량에 영향을 미칩니다.
스턴이나 메즈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우리는 이것은 좀더 유용하게 만들
방안에 대해 연구중입니다.
: 덱스가 블럭,패리와 이베이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문입니다.
(이베이드는 덱스/퀵기반이겟죠) 덱스보너스는 이러한 기술에 대해
더해지는 효과 입니까? 곱해지는 효과입니까?
예를 들어,
더해지는 것이라면, 이베이드는 5%의 추가기회를 주니까, 이베이드5라면 25%,
덱스가 200이고, 이로 인해 +x%의 이베이드 기회가 주어진다고 하면,
이베이드 1에서 5+x%, 이베이드5에서는 25+x% 가 되겠죠..
그리고 곱해지는 것이라면, 5*x%, 25*x% 가 될테고요.(이게 정답)
A: 좋은 해설이네요. 아시다시피, 곱해집니다.
Q: 제 블마에 닷져3을 달았는데요. 이것이 “어드밴스드 이베이드”에 영향을 미치나요?
A: 닷져는 모든 이베이드에 영향을 줍니다.(버석이든 쌥지든 역시 닷져는 투자할 가치가 있는듯)
Q: 스미스가 수리하나 크래프터가 수리하나 내구도는 똑같이 닳고,
그리고 차이는 돈이 느냐 안드냐의 차이일뿐이라고 들었는데요.
다른사람들은 크래프터가 내구도가 덜 닳는다고 하거든요? 이에 관해
다시 한번 말해주세요.
A: 당신이 옳습니다. 똑같이 소비됩니다. 뷁 -_-;
Q: 1.62에 스텔스스펙이 씨히든에 영향을 준다고 하던데요. 예를 들면 35+15하고 50+0하고
차이가 있나요?
A: 35+15나 50+0은 거의 동일합니다. 그러나 50+15는 더 나을것입니다.(위쪽의 스킬에 따른 증가랑 동일함, 아템이나 순수스킬이나 효과는 똑같다는 얘기)
Q: 와일드힐링RA에 관한 질문입니다. 이 RA는 레벨에 기반하여 직접적인 힐주문시 5%의 크리확률을 가지게 해준다고 합니다. 나는 이것이 타켓을 필요로 하는 힐에 관계되기를 기대하지만, 이것(와일드힐링)은 그룹힐과 같은 타켓없는 힐에 작동하고 있습니다. 명백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A: 스펠 킹의 의견에 따르면 “이것은 싱글타켓힐에 동작합니다.”
그러므로 만일 그렇지 않다면, 검증된 테스트를 거치기 위해
버그로써 어필해 주시기 바랍니다. (스프레드나 그룹힐같은데는 버그로 작동하는? 와일드힐링은 찍을지 안 찍을지 버그때문에 망설여질듯)
DAoC의 스킬효과 계산식엔 분기점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총 50레벨까지 웨폰을 올릴 수 있는데 대체 49까지 찍는 것과 50까지 찍는 것이 어떻게 틀린가 하는 의문을 가지는 분들이 많습니다. 분기점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입니다.
일명 방아쇠 효과라고도 하는 스킬 분기점은 자신의 레벨의 1/3, 2/3, 3/3레벨까지 스킬을 투자했을때 구분지어 집니다. 즉 내가 레벨 30이라면 10레벨, 20레벨, 30레벨일때 각각의 유효 분기점을 맞이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웨폰에 투자되었을 경우는 간단히 Max Damage와 Min Damage의 변화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레벨을 따라서 최대와 최저 데미지 계산식이 변동하는데 여기에서 큰 폭의 변화가 생기는 것(어떠한 데미지의 전환점?@_@;)이 분기점이라는 개념입니다. 일명 방아쇠 효과라고도 하는 이 분기점은 웨폰스킬이 현재 레벨의 1/3이 될때 2/3이 될때 3/3이 될때 그 차이가 크다는 것입니다. (일종의 돈오랄까요..-0-;;)
전체 레벨에 대한 웨폰스킬의 분기점별 Min-Max 의 데미지 %는 다음과 같습니다.
1/3 : 50.5 ~ 125%
2/3 : 76% ~ 126%
3/3 : 100% ~ 150%
이것은 50레벨에 적용되었을 경우 각각 17, 34, 50 의 순으로 분기점이 적용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