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까지”라는 말은 “내일 아침까지”라는 말이다. [출처] [펌] 프로그래머의 격언|작성자 민군
2. 프로그램은 내가 원하는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타이핑대로 움직인다.
3. 요구 사양은 프로그램을 완성한 후에 추가된다.
기본 사양은 완성품을 고객이 보고 나서 결정된다.
상세 사양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사용해 본 이후에 결정된다.
4. 소프트웨어 설계에는 두 개의 방법이 있다.
하나는 결함이 있을 수 없을 정도로 단순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분명한 결함을 눈치채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5. 코드는 개발 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납품처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디버그는 납기일까지 하는 것이 아니라, 납품된 이후에 하는 것이다.
6. 프로그래머를 죽이기 위해서는 칼이 필요없다. 프로그램의 요구조건을 3번만 바꾸면 된다.
7. 다른 사람을 믿으라. 그 사람이 해결해줄지도 모른다.
주의사항 – 먼저 자신을 의심해라.
8. 개발에 마지막은 없다. 출시만이 있을 뿐이다.
9.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이 제 아무리 뒤늦게 추가되어도 납기일은 변하지 않는다.
이것을「납기 불변의 법칙」이라고 한다.
10. 우리의 고객들은 물과 기능추가를 공짜라고 생각하고 있다.
11. 주머니가 짠 고객일수록 잔소리가 많다.
12. 개발 스케줄은 산수를 무시하며 짜여진다. 영업과는 1+1=2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의 모임이다.
13. 한 명이 쓰러지면 모두가 쓰러진다.
14. 버그가 너무 심하다? 걱정마라. 어느 순간 그것은 기본 사양이 될 것이다.
15. 좋은 설계는 한 명의 천재보다 세 명의 범재를 요구한다.
나쁜 설계는 백명의 범재보다 한 명의 천재를 요구한다.
16. 고객에게 시스템 엔지니어는 부하이며, 프로그래머는 가축이다.
시스템 엔지니어에게 고객은 돈이다.
프로그래머에게 고객은 보이지 않는 악성 바이러스다.
17. 돈과 시간만 있으면, 그 어떤 시스템이라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웃어라. 그 기회는 영원히 주어지지 않는다.
18. 품질은 사양 변경의 수와 규모에 의해, 얼마나 열화될지 결정된다.
19. 영업과는 공상이 실현된다고 생각하는 몽상가이다.
시스템 엔지니어는 넘을 수 없는 벽이 없다고 믿는 모험가이다.
프로그래머와는 몽상가와 모험가에 의해 칠흑의 바다에 내던져진 표류자이다.
20. 유능한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 설계개념도를 받아들고 최초로 하는 일은, 프로그램의
목적을 이해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하는 일은, 지정된 방법과 시간 안에는
도저히 그 목적을 완수할 수 없다는 사실을 시스템 엔지니어에게 이해시키는 일이다.
21. 프로그램이란, 운과 감에 의해서 작성되는 기적이다.
운과 감이 없다면, 그 기간 내에 그러한 목표를 실현될 수 있을 리 없다.
따라서 사양 변경은 기적에 트집을 잡는 건방진 행위이며, 사양 추가는 기적이 두 번
일어날 것으로 믿는 무모한 행위이다.
22. 시스템 엔지니어는 지구력, 프로그래머는 순발력.
23. 정시에 퇴근하면, 일이 늘어난다.
24. 완벽한 프로그램은 완벽한 시간과 돈을 필요로 한다.
미국의 국가 예산을 무제한으로 사용하는 NASA마저도, 아직 시간과 돈이 부족하다고 한다.
25. 눈으로 훑어볼 틈이 있다면 움직여라. 뇌세포보다 CPU가 더 해석이 빠르다. 그리고, 그 사이,
쉴 수 있다.
26. 불편함을 버그라고 부를 것인가, 사양 상의 제한 사항이라고 부를 것인가는 남겨진 개발일자와
납기일에 의해 결정된다.
27. 정장 대신 캐쥬얼을 입고 출근하는 “캐쥬얼 데이”를 세간에서는 휴일이나 공휴일이라고 부르는
것 같다.
28. 프로그램은 머리로 기억하지 않는다. 몸으로 기억한다.
29. 내일 쉴 수 있다면 오늘 죽어도 괜찮다.
30. 고객은 거짓말을 한다.
영업은 꿈을 말한다.
시스템 엔지니어는 공상을 이야기한다.
프로그래머는 과묵해진다. (혼잣말은 많아진다)
31.「네, 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기 전에 10초만 곰곰히 다시 생각해보라.
32. 프로그래머는 1분 생각하고 1일을 코딩에 소비한다.
1시간 생각하고 1시간 코딩하는 대신에 말이다.
33. 납품 이후의 디버그는 버그를 부른다.
34. 세 개의 디버그는 하나의 버그를 낳는다. 이것을 버그의 엔드리스 루프라고 한다.
35. 안 좋은 예감은 반드시 적중한다. 그러나 프로그래머는 그 안 좋은 예감에 반응하지
않는다. 그것은 시스템 엔지니어의 일이다.
36. 아수라장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고객이 돈을 지불하는 것 뿐이다.
37. 아마추어는 버그발견의 천재이다.
38. 아, 그건 마이크로소프트에서만 가능한 주문입니다.
39. 프로그래머가 불만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은 고객도 반드시 불만이라고 생각한다.
40. 건강하기 때문에, 건강을 해친다.
41. 그건, 당신이 말한 요구조건입니다만.
42. 아, 개발실의 창문은 안 열립니다. 그 이유는 옛날에 한 프로그래머가 그 창문에서···
43. 고객은 최악의 사태를 믿지 않으며, 그 사태에 대한 준비를 악질적인 비용청구라고 생각한다.
시스템 엔지니어는 최악의 사태를 대비하고 준비하려 한다.
프로그래머는 최악의 사태를 누구보다 잘 예상하지만, 무시한다.
44. 만약 다른 직업을 갖게 된다면, 정시퇴근을「도망」이라고 부르지 않는 직업이 좋을 것 같다.
45. 시스템 엔지니어가 프로그래머에게 말하는「상식」은 3시간마다 변한다.
46. 최소한 자기가 쓴 시방서는 읽어주세요.
47. 고객이 시스템 엔지니어에게 사랑받는 방법은, 시스템 개발에는 시간이 곧 돈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빨리 최종요구조건을 확정하는 것이다.
SE가 고객에게 사랑받는 방법은, 프로그래머에게 미움받는 것이다.
48. 납기일이란, 작업현장이 우리 회사에서 고객의 회사로 바뀌는 날을 의미한다.
49. 가끔 일어나는 버그는 버그가 아니다. 스펙이다.
50. 개발비의 30%는 프로그램의 요구조건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개발비의 30%는 프로그램의 요구조건을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개발비의 30%는 프로그램의 버그를 잡는데 사용된다.
개발비의 10%만이 프로그램의 개발에 사용된다.
쇼핑몰에서 반바지를 샀더니…
아.. 명박이 욕 안할려고 했는데…
유머 사이트에서 아래 글을 보고 웃음 밖에 안나오대요 헛헛
제목은 “도대체 창의적이지 못한 2MB”
“저는 청와대 뒷산에 올라가 끝없이 이어진 촛불을 바라보았습니다. 시위대의 함성과 함께, 제가 오래전부터 즐겨 부르던 <아침이슬> 노래 소리도 들었습니다.
캄캄한 산중턱에 홀로 앉아 시가지를 가득 메운 촛불의 행렬을 보면서, 국민들을 편안하게 모시지 못한 제 자신을 자책했습니다. 늦은 밤까지 생각하고 또 생각했습니다”…..
(참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0&sid2=264&oid=001&aid=0002136895 )
참으로 낯익은 글귀다 싶었어요…
아마도 노무현 대통령께서 탄핵 당시의 일에 대한 어느 글에서 본 글귀와 너무 흡사하더군요…ㅋㅋㅋㅋ
===========================================================
깨어있는 시민들의 공동작업실
언젠가 대통령은 2004년 탄핵 촛불집회 때의 심경을 털어 놓은 적이 있습니다.
“한밤 중에 청와대 뒷산에 올라가 그 거대한 촛불의 물결을 봤습니다. 두렵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렇게 수준 높은 시민들을 상대로 정치를 하려면 앞으로 누구라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통령이 보기에 이미 시민들의 의식과 역량은 지도자라는 사람들이 두려워할 수준이었습니다. 이제는 일방적으로 정보와 논리를 전달하는 대중매체가 아니라 시민들의 에너지가 모이고 선순환하는 새로운 소통의 광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겁니다. 대통령이 제안한 인터넷 사이트는 언론매체라기보다는 깨어있는 시민들의 공동작업실, 공동연구센터, 소통의 광장 그런 것에 가까운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세계에는 이미 많은 사이트가 있고, 많은 의견과 주장이 넘치고 있습니다. 굳이 왜 새로운 사이트가 필요한 것인가. 인터넷 토론에 대한 우려도 있을 법합니다. 자극적인 용어, 현란한 수사, 한쪽으로 치우친 논리, 무책임한 댓글 등등. 토론을 하더라도 소모적인 찬반논쟁만 되풀이 될 뿐 수준 높고 생산적인 토론이 가능하겠느냐고 걱정하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이 사이트는 극단적인 싸움을 하는 곳이어서는 안됩니다. 정확하고 검증된 사실, 합리적인 논리를 내놓고 그것을 축적시켜 가치있는 자료를 만들어가는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내 얘기는 그 검증과 축적의 과정이 참여한 시민들의 집단 평가에 의해서 이루어질 거다, 이렇게 보는 겁니다.”
(2008년 2월17일, 사이트 관련 관저 회의 )
===========================================================
보좌관이 쓴 글이겠지만. 어쩜 그리 보좌관들도 하나같이 창의력이 없는지.
샘플링을 하려면 원곡의 출처는 밝혀야지요..ㅋ
오리지낼러티를 만드는 상상력 가진 인간들이 전혀 없나보네요..
삽질하는데만 일가견 있는가벼.
천재 이야기
dcinside 산텔리아 作
대운하……..
. . . . .
레아님 여력되시면 가가채팅이나 함 홈피에 열어봐줘요
가가라이브라고 홈피에 실시간채팅을 할수있게 해주던데
간혹 홈피왔다가 만나는 사람잇으면 바로 채팅할수있으면 좋을지도..
불필요하거나 힘들면 말구.. 함 생각해줘봐요~
http://www.gagalive.kr/live/
리허설…
근데 벵님은 왜 아이디 새로 안 만들어 오나..
얼굴이 화끈거리는 동영상 (펌)
휘나님…
누드촬영 그런거말고 저번에 구하시던 케리비안해적 페러디물이나 올려드릴까용
p.s 그거 올리면 바로 파딱주나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