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릴리즈 제롬님의 힐러에 대한 고찰

현재 제 힐러 스펙은 48/22/11이고 봉님 힐러 스펙..(금욜님 힐러라고해야되나 하여튼 몽몽)이 44/30/8 입니다.

둘다 장단점이 있습니다만, 갈수록 인스 메즈의 cc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상태에서 저도 후자가 많이 땡깁니다.

파젠 4/5는 사실 알비알에서 큰 의미는 없다고 봅니다. 캐스터가 랭좀 되면 세러니티 안주는 캐스터가 바보일테고, 좀 더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물약도 갖고 다니니깐요. 극단적으로 이야기하면, 펄싱 비티 없는 모든 클래스는 파젠 없어도 됩니다. 전투중의 마나 리젠은 휴식의 1/13이던가.(오래되서 기억이). 휴식때 돌려써도 됩니다. (민스를 생각해보시면..)

어떻게 보면 cc로 인스메즈 범위가 줄어든다는게, 캐스팅 메즈를 성공시켜줄 여유..(메즈 이뮨을 줄여준다는 의미에서)가 있다는 점에서 역설적으로 더 좋을 수도 있겠지요.

팩힐러 플레이에서 가장 신경 써야 할 사항은 이뮨 타이머를 안넘겨 주는거라고 봅니다. 쓸데없는 에이 스턴과 루트의 남발이 전투를 패하게 하는 첫번째 요소이지요. (사실 루트 남발은 극히 없습니다만, 캐스터나 힐러하면서 좀 속상하는게 퀵 루트나, 인스스턴후 루트로 처리해놓은 밀리를, 크리티컬한 데미지도 못주면서 루트만 깨버리는 아군 밀리지요.)

한파 싸움에서. 첫 에이던, 인스메즈던 그 타이머 안에 적 클래스 두명을 눕힐수 있다면 (한파 싸움에서) 승률은 80%이상이라고 봅니다. (적 캐릭들이 스턴/루트 타이머가 없을때) 반면에 눕히지 못한상테에서 메즈가 풀린다던지, 아니면 두명정도 누워도 스턴/루트 타이머를 달고 온다면 승리를 장담하긴 어려운 경우가 많죠.

뭐 말은 이래 해도..요새 겜하기가 싫어서..안한다는.

그리고 콘트롤이라는 점에서 48/22/11 보다는 44/30/8이 좀더 손이 간다고 봅니다. 팩힐러의 일반적인 플레이 스타일은 초반 CC 후에 힐타임으로 넘어 갑니다. (극단적으로 캐스팅 힐 안하는 친구들도 있습니다. 사실 2초 중간힐이 260-280이라는 눈물나는 힐, 그리고 하이 레쥬/멘딩 스펙 힐캐스팅 타임이 줄었다는 점에서 더더욱 눈물나죠. 이 중간힐로 원타당하는 아군을 살릴 방법은 없습니다. 캐스팅 힐 안하는 친구들은 어짜피 살릴수 없는 힐을 하느니 한명이라도 더 스턴/루트를 걸고, 캐스터 디버프로 인터럽트 내고, 좀더 CC하는게 그룹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것 같고, 이도 나름대로의 Rationale는 있다고 봅니다. 힐 안해준다고 너무 구박하지 마세요.)

괄호가 너무 길었습니다만, 하여튼 CC타임 후에 힐타임으로 넘어가는데, 이 부실한 힐로 충분한 힐을 못하면서 적 밀리 달고 도망치기만도 바빠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즉, 초 어리버리 그룹이 아니면 캐스팅 세번정도 하면 분명 밀리 한둘은 붙습니다. 하나정도면 인스 스턴-루트 조합으로 세울수는 있지만, 또 이러저러한 요소로. (스턴 타이머가 있다던지, 레지 났다던지, 깨졌던지) 바로 붙는 경우도 많지요. 이때는 스프 런 밖에 방법이 없는데, 이 시점동안 아군 밀리들이 얼마나 적을 더 사살하느냐에 그 그룹이 얼마나 우버한지를 알 수 있는 척도가 됩니다.

스프레드 힐의 경우, 일단 힐양이 만족 스러우며, 타겟이 필요 없다는 점에서 좋을 테고, moc를 배우면 효율의 극대화가 된다는 점에서 좋을것 같습니다. 이래저래 rvr을 좀 해보고 결정하시고, 개인적으론 44 스펙이 더 끌립니다만, 적응하기 귀찮다는 귀차니즘의 압박으로 리스펙을 안하고 있습니다.

이건 노말 그룹의 이야기고, 폭탄그룹의 경우는 좀 상황이 바뀌죠. 일단 메즈 걸고, 스마 쪽에 시선을 두면서 스마가 도착할 시점에 에이 스턴을 날려주면 됩니다. 한그룹 이상이라면 한쪽 인스메즈, 반대쪽 캐스팅 메즈 혹은 인스에이스턴 후 캐스팅메즈로 cc는 됩니다. 스턴타이머를 일시에 넘겨주는 단점이 있으나 투 스마 이상이라면 스턴타이머 이상의 데미지 딜링이 됨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타 렐름 사람들은 ae스턴이 금단의 비기로 생각하지만, 실제로 노말 그룹에서 ae스턴은 써서는 안될 스킬이 될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전 슬롯 8개 있던 시절엔 ae스턴은 퀵바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인스 150의 범위에 대해서 좀 불안할수는 있을텐데, (사실 22초와 30초는 이런 저런 이유를 생각하면 실제적인 적용시간은 1-2초 사이일겁니다. 한 8초냐 10초냐..) 한그룹 뒤잡기 플레이할때는 충분하고, 정면 조우시에도 적 CCer는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인스 메즈의 위력은 메즈 자체보다는, 먼가 걸렸다라고 적이 알면서 잠시 정신적인 어리버리함이 있을때, 캐스팅 메즈를 성공시켜주는 효과가 더 크다는걸 감안하다면 오히려 150이 좋을 수 있습니다. 이 시점에 정확히 힐러를 타겟하고 뛰어오는 밀리는 많지 않습니다. 힐러가 원타 당하는 시점은 앞에도 이야기 했지만, CC타임 후 힐타임 때가 가장 많습니다.

그리고 파젠에 대해서 한마디 더 하면, 파젠의 가장 큰 효과는 내가 파젠을 갖고 있다는 심리적인 효과입니다. 일종의 위약효과 인데, 그냥 하여튼 있어서 다행이라고 느끼는 효과가 더 큽니다. 콘 부족할때 사실 파젠을 빼는게 가장 좋지만, 이러면 또 많은 마나 소비 캐스터들이 심리적 공황을 할 수 있으므로, 적당히 안삐질 정도로 주면 됩니다.
단 스칼드나 쉐인등이 파젠을 요구하면 단호히 KIN을 외쳐주시고. 다시한번 게릴라시의 상황을 요약해보면

선메즈가 성공했을경우.

1. 인스 메즈 타이머의 경우. 실제 체감 메즈 타임은 10초-15초 입니다. 바드던 지팡이던 가리지 말고 일단 두명을 이 타이머에 다운 시키면 이깁니다. 이 시점에 원타 시작하는 타겟에게 캐스팅 스턴을 날려줍니다. 특히 타겟이 마나 챈터나 마나 엘드일경우엔 인스 스턴을 아끼지 말고 날려줍니다. 제일 좋은건 슬램이지만, 요새 워리어 보기가 드물어서. 여차하면 그룹 인스힐을 쓰고, 잘하는 그룹이면 이시점의 밀리들이 도망가지 않습니다. 밀리들이 마나 캐스터에서 도망가는 순간, 그룹 승리는 힘들어 집니다.

2. 메즈 타이머가 끝나기 직전, 혹은 중간이라도 명확히 보이는 밀리- CS 히어로, LW챔프..단 챔프는 디디와 스네어, 디버프 때문에 좀 꺼리껴지기 합니다만, 이도류 클래스에게 루트를 걸어줍니다.

3. 이후 힐타임으로 힐을 쓰시고, 캐스터가 밀리한테 맞으며 도망갈때 루트 걸어주면 좋습니다만, 보통 아군 밀리들한테 맞으면서 산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그 다음 밀리가 차지하면 거리가 멀면 캐스팅 루트, (2번 시점에서 루트플레이를 했다면 타이머가 있겠지만, 보통 저 루트가 잘되면 이전에 쇼부가 납니다.) 가까우면 스턴후 루트를 쓰고. 그다음 딩가딩가 하면 됩니다.

5. 선메즈 당했을경우는 당황하지 말고 퍼지 후 인스 메즈 나 인스 스턴후 캐스팅 메즈를 하고, 단 퍼지를 너무 빨리하면 좋은 원타의 먹이가 되니깐, 약간의 기다림은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6. 우버 컴 그룹이라면 이펙트를 잘 보고 손발을 맞출수도 있지만, 항상 컴들이 안좋은 사람들이 있다는걸 명심하시고, 힐러는 거의 왠만하면 effect all을 해놓고 다녀야 합니다. (컴나쁜분은 힐러 하지말라는 이야기 :P)

아 그리고 ae 스턴으로 인스메즈후의 cc를 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이경우는 콘트롤이 필요 없다는 점에서 편하긴 하고, 또 이 에이 스턴 타이머 동안 2명정도 더 다운되면 뭐 이기긴 합니다만, 스턴 타이머 달고 적들이 덤빈다는 점에서 단점도 많습니다. 이건 어디까지나 힐러의 취향이라고 봅니다. (전 아님)

—————————————————-

아. 겜은 하기 싫고 글만 주절주절 하네요. 그리고 6월은 목요일 마다 RL문제가 좀 있어서 전 레이드는 계속 불참할듯 합니다. 그럼 무럭무럭 자라세여.

아 그냥 daoc자게를 보다가 보니 이런글을 쓰고 싶었는데..거기 쓰면 손버릴거 같아서..-_-

바드도 복잡할거 같긴한데. 힐러는 뭐랄까, 특히 저 CC타임과 힐타임의 조율이 힘들거 같더라고요. 바드는 CC가 메즈 타이머 먹으면 땡이니, 그담엔 도망치기나 힐, 엔듀송 정도면 되는데. 힐러는 남은 CC가 있다가 보니 더 그래요.

아 그리고 리딩..확실히 제1 팩힐러로 리딩 할때랑 쫄쫄이 할때랑 반응 속도가 틀려지는건 사실입니다.

사실 ae스턴 주고 ae루트 얻어왔음 좋겠다만,

아. 그리고 인스 에이스턴 먼저 쓰고 캐스팅 메즈 타이머 거는 경우도 있고, 이를 우선하는 경우도 있는데. 역시 힐러 취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장/단점이 있을수 밖에 없고요. 전 죽으면 죽었지 타이머 넘기는걸 싫어해서..히히. 차지 되어있을땐 안해여. 퍼지로 스턴이랑 메즈랑 다 푸는거 보면 배아파서..특히나 그룹퍼지라면

아..쓰다보니 주로 대 히베 용으로 되었네요. 그만큼 알브 로밍그룹에 대한 존재감이 없다는 무의식적 반영인거 같군요.

빠진게 퍼지에 대한 대책인데. 이건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서 다르니깐 큰 의미는 없는거 같고. 잘~ 하면 됩니다. 잘~ 못하면 죽지요.

대 알브용 로밍으론. 뭐 큰 차이는 없습니다만, 이건 전체 그룹에 해당하는거지만, sos로 도망치는 그룹에 미련을 버려 주시고.

캐스터 원타를 유도하고, 그 캐스터가 아이스 위즈일경우 꼭 스턴을 써주시고..실제로 안쓰더라도 그룹원한테 써주니깐 겁내지 말라고 거짓말을 해주세요.

아 그러고 슬램 맞았을경우, 적군이 꽤 남아 있다 싶으면 과감히 퍼지를 쓰세요. 슬램 타이머 있는 상대에 원핸 팰리의 좌절을 느끼게 해주면서..가볍게 루트를 하고.

문제는 벙커인데. 사실 이 벙커 때문에 안그래도 짧은 인스메즈가 더더욱 무력화가 되지요. 그래도 썰자그룹의 살길은 원타 뿐입니다. 이상적인거야 우리그룹 캐스터를 보호하고 캐스터가 해결 해주기를 바라는 거지만, 캐스터가 없을수도 있고, 캐스터가 암즈를 칠수도 있으니..

한가지 팁을 말씀드리면, 폭탄이 moc쓸때, 스턴 타이머를 확인하고 쓰시면 하나의 파해법이 됩니다. 미드 입장에서 메즈/스턴 타이머 끝나면, 저격할 캐스터나 아처가 그룹에 없는경우에 두명 이상의 마나 캐스터를 저지할 방법은 없습니다. 스턴을 아끼는 그룹도 있지만 만나면 좋다고 에이 스턴-에이메즈 혹은 에이메즈-에이 스턴으로 가는 그룹들이 있습니다. 에이 메즈에 바로 그룹 퍼지를 쓰지 말고, 꼭 에이 스턴까지 들어오는지 확인을 하시고, 한번에 풀어주시던지, 아니면 마나 캐스터가 개인 퍼지가 있으면 퍼지 하시고 엠오씨 돌리시고 신나게 지지세요..(음 다 알고 계실려나… 나 잘했어요? 히히) 2003-06-13
13:35:44

Jeromi
  바드도 비슷합니다. 메즈 됬다고 퍼지하고 혼자 역메즈 하고 딩가딩가 춤추면서 도망가다가 밀리 붙고, 인스스턴 맞고 죽는 경우도 많지요. 뭐 그렇다고 그룹원 다 죽을때까지 퍼지 안할수도 없고, 디메즈도 중요하긴 합니다만. 어디까지나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 자나깨나 원타, 다시보자 힐러, 똘똘 뭉치자 마나 캐스터 입니다~ 2003-06-13
13:43:57

Jeromi
  또 한가지는 역시나 드루이드의 존재입니다. 그룹 퍼지 뿐만 아니라 ae루트가 있지요. 썰자 그룹상대의 ae루트는 에이 메즈랑 같습니다. 히베의 가장 큰 장점은 바드와 드루이드가 CC가 나누어져 있고, 같은 타이머를 공유 안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물론 이는 손발이 안맞으면 단점일수 밖에 없지만, 손발이 맞으면, 손발 맞는 투 팩힐러보다는 200%강력하다고 봅니다. 하이버핑, 인스힐, 700에 해당하는 사기스러운 힐빨등을 일단 제외하고서도요. 그리고 와든의 쏜즈도 있군요. 모든 캐스팅을 완벽 봉쇄하는 최고의 사기 RA중 하나…아 이러고 보니 내츄럴 3형제가 다…

대화에 참여

댓글 4개

  1. 음…swg접속이 안되서 이리저리 구경다니는데…이 또 쪽팔리는 글이 올라와 있군요. 저게 그때그때 생각날때마다 리플달던 형식인데, 다 붙여놓으니 너무 이상해요…특히 아~ 이게 너무많아서리.

    저 글을 쓴 사실 동기는 daoc를 떠날려고 마음먹고, 자라나는 후배 힐러를 위한 일종의 인수인계성 글이었지요..흑흑 힐러만 도대체 몇개월을 한건지..

    SWG도 너무너무 개인적으론 재밌는데, 몰입도가 너무나 심해서, 정말 RL이 피폐해지고 있군요. 전 크래프터 캐릭을 하다 보니, 이제 양키 타임존에 따라서 제 일정표를 짜야 될 정도입니다. 몇시부터 몇시는 하베스터 수확, 몇시 부터 몇시는 무기 생산, 이후는 R&D타임, 그 이후는 가게에서 손님접대등등이지요. 이게 daoc같이 자원을 상인에게 사고 그냥 마우스노가다나 매크로놀이가 절대 아니라서, 정말 하이엔드 시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엄청난 경쟁들이 있습니다. 양키 보드에까지 글을 안쓸수가 없다는..쩝. 경제 시스템만은, 인류가 만든 모든 게임중 단연 최고라고 봅니다. (전투를 별로 안해봐서리..헤헷)

댓글 남기기

훼르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