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겠다…

한국 사람은 ‘죽겠다’는 말을 잘 쓴다.

한국 사람처럼 `죽는다`는 말을 잘 쓰는 사람도 없다고들 말한다. 그러는 사람 자신도 무엇인가 좀 힘주어 말하려고 할 때에는 저도 모르게 `죽는다`는 소리가 흘러나온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 눈을 비비며 하는 첫마디가 `졸려 죽겠다`이고 저녁 때 집으로 돌아와 서류 가방을 내던지며 하는 소리가 피곤해 죽겠다`이다. 죽겠다는 말에서 해가 뜨고 죽겠다는 말로 해가 진다.

미운 놈은 언제나 죽일 놈이고 반대할 때는 언제나 결사 반대다. 그러나 우리는 밉고 슬프고 외로울 때만 죽는다고 하는 것이 아니다. 좋을 때도 좋아 죽겠고 기쁠 때에도 기뻐 죽는다」고 한다. 헤어지면 `보고 싶어서 죽겠고 만나면 또 반가워서 죽겠다`고 하는 것이 바로 전천후의 죽겠다 문화에서 살고 있는 우리 모습이다. 심지어는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에도 “둘이 먹다 하나 죽어도 모른다. “는 표현을 쓴다.

감정 표현만이 아니다. 생명 없는 물건들을 놓고서도 죽는다는 말을 잘 쓴다. 풀(糊)이 죽고 시계가 죽고 맛이 죽는다. 문명의 첨단. 컴퓨터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도 그것이 다운되었을 때에는 컴퓨터가 죽었다고 한다. 자기가 죽는다는 것은 그래도 낫다. 아이나 어른이나 조금 화가 나면 아주 쉽게 죽여 버린다는 말을 한다. 물론 정말 죽일 생각이 있어서 그러는 것은 아니다. 단순히 입에 밴 말이다. 그러나 외국에 가면 사정이 다르다. 만약에 부부 싸움을 할 때 한국처럼 죽인다는 말을 했다가는 살인 미수죄에 걸린다. 하지만 한국인에게는 죽인다는 말이 그렇게 살벌한 게 아니다. 지극히 평화롭고 화기 애애한 장소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말이기 때문이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소리가 좀 크면 볼륨을 죽이라고 하고 멋있는 장면이 나오면 죽여준다고 한다. 바둑이든 장기든 한국인이 모여 노는 자리에 가면 죽고 죽이는 것이 기본이다.

고스톱을 칠 때 3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광팔고 ‘죽는다’. 훌라 칠 때도 세븐을 작전상 ‘죽인다’. 당구 칠 때에도 힘을 ‘죽여야’ 정확도가 높아진다.

이렇게 죽는다는 말을 잘 쓰는 것이 과연 흉인가. 서양 문명의 쇠퇴는 “시체를 아름답게 화장하고 아이들에게 시신을 숨기는 데서부터 시작되었다” 라고 풀이하는 문명 비평가도 있다. 이미 릴케는 「말테의 수기」에서 죽음에 무관심해진 서구 사회에 대해서 깊은 우려와 경고를 던지고 있다. 죽음의 처절성과 그 끔찍함을 외면하려고 할 때 그 문화는 세속화에 젖어 안이한 쾌락에만 젖는다. 그리고 죽음에 직면하여 그것을 생 속에 끌어들이려는 정신을 잃었을 때 오히려 그 문화와 문명은 생명력도 잃게 된다.

한국 사람들은 말로만 그랬던 것이 아니라 죽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였다. 죽음은 슬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초상집에서는 반드시 울음소리가 들려야만 한다. 희랍에서는 남자들이 울어서는 안 된다는 사회 관습으로 친척이 죽으면 여성들이 대신 장의의 주역이 되어 울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나마도 후세에 올수록 눈물은 없어지고 죽음은 종교화하여 미화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장례식의 울음을 양식화하여 이를테면 문화적인 차원으로 승화시켜 곡이라는 것을 만들어 냈다. “아이고 아이고” 하고 울면 상주요, `어이 어이` 하고 울면 문상객이다.

심지어 곡할 사람이 없으면 곡 꾼을 사서 울렸다. 중국에도 물론 그런 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지방이나 시대에 따라서는 죽음을 기려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기도 했다. 일본에서도 일부 노토(能登) 지방에서는 곡을 하는 풍습이 있고 쌀을 받고 울어 주는 곡파(哭婆)가 있었다. 그러나 역시 상업의 나라 일본답게 보수로 받는 쌀의 양에 따라서 그 울어 주는 것이 달라졌는데 한 말을 주면 한 말 곡. 두 말 주면 두 말 곡으로 말수에 따라서 우는 시간과 목청이 달라진다. 여러 가지 비교를 통해서 볼 때 곡 문화에 있어서 만은 어떤 민족도 한국을 따를 수가 없었을 것 같다.

또한 죽음은 흉사인 것이다. 서양 사람들은 죽은 사람에게 화장을 시키고 산 사람처럼 꾸민다. 진짜 죽음의 모습은 실종되어 버린 것이다. 한국의 경우 장례식에 사용되는 것은 혐오감과 두려움과 흉칙한 인상을 주는 것을 그대로 사용한다 베옷은 거칠고 늘(관) 역시 거칠다. 상여가 아름답기는 하나 칠성판은 장식이 되어 있지 않은 널반지이며 상두의 노래는 처절하다. 한국인이 죽음이라는 말을 잘 쓴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말해 그만큼 생명에 대한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죽음을 전제로 하지 않고 살아가는 생은 전부 가짜 보석과도 같다. 죽음을 잊고 살아가는 사람들, 남은 다 죽어도 자기 혼자만은 천 년 만년 살 것 같은 착각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일수록 아침 이슬과 물거품의 허상 속에 매달려 산다.

그러나 죽음을 생각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죽음이 와도 여전히 남는 단단한 삶의 가치를 얻기 위해 애쓴다. 어리석은 자는 항상 삶 다음에 죽음이 오지만 현명한 사람은 죽음 다음에 삶이 온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사람들은 `생사결단`한다고 하지 않고 `사생결단`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생과 죽음의 순서를 뒤집어 `죽기 아니면 살기`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니까 세익스피어외 그 유명한 대사 “to be or not to be, That is question “도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라고 직역을 해서는 안 된다.  자연스런 한국말이 되자면 그 순서를 바꿔서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라고 해야 한다.

인생을 옛 한국말로는 `죽살이(죽고 사는 것)` 라고 한 것을 보더라도 죽음을 생보다 앞세우는 철학적 표현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었던 것 같다. 과실의 그 달콤한 과육은 생에 속하는 것이지만 그 속에 묻혀 있는 딱딱한 씨는 죽음에 바쳐지는 것이다. 우리가 자기회생을 하며 자식을 낳아 기르는 것은 바로 자신의 죽음에 대비하는 본능적 행동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래서 마치 웅녀가 죽음의 깜깜한 굴속에서 신시(神市)의 아침 햇살을 맞이한 것처럼 말끝마다 죽는다고 말한 그 입술에서 `살다`라는 말이 흘러나올 때 그것은 새벽바람처럼 신선하다. `살다`라는 한국말이 아름답고 싱싱하게 들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사람`이라는 말 자체가 ;살다`라는 동사에서 나온 말이다. ‘얼다’에 `음”을 붙인 것이 ‘얼음’이듯이 ‘살다’에 `암”을 붙여 명사형으로 만든 말이 ‘사람’이다.

죽음이란 말 못지 않게 우리는 살다라는 말을 많이 쓴다. 미술가들은 그림을 보면서 선이 살아 있다고 기뻐하고 법조인들은 사회에 질서가 잡혀 있는 것을 보면 법이 살아 있다고 긍지를 느낀다. 기업인은 기업을 살리기 위해서 학자들은 진리를 살리기 위해서 일한다. 평범한 생활인들은 살림살이를 위해서 땀을 흘린다. 그렇다. 살림살이라는 말에는 살다와 관계된 말이 두개나 포개져 있다. 나는 아직 외국 말에서 `살다`라는 말을 겹쳐 하나의 단어를 만들어 낸 복합어를 구경한 적이 없다.

우리 민족의 가슴을 울린 노래에는 대개가 다 `살다`라는 말이 들어가 있다. “살어리 살어리랐다. 청산에 살어리랐다. “가 그렇고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가 그렇다. 그것들은 “왜 사느냐 면 웃지요.”와 같은 해탈의 웃음이 아니면 “한 오백 년 살자는데‥‥‥”라고 길게 길게 뻗치는 민요 가락의 한숨과도 같다. 재즈와 같은 숨 가쁜 쾌락만이 깃들여 있는 노래가 아닌 것이다.

이 두 개의 리듬을 타고 한국인은 생활해 왔다. 삶이란 생 하나만으로 굴러가는 수레가 아니다. 삶과 죽음의, 아니다 죽음과 삶의 두 바퀴가 있을 때 비로소 굴러가는 수레인 것이다. 지금 우리가 가장 많이 잃은 것이 있다면 그것은 다름 아닌 죽음이다. 죽음이 배제된 문명 속에서는 생명 존중의 꽃이 자랄 수가 없다. 그림자 없는 빛처럼 삶은 그 입체성을 상실하고 평면화하고 만다. 그래서 지금 서양이나 일본 같은 데서는 「죽음의 서」와 같은 고리타분한 옛 문헌들이 젊은이들 사이에서 날개 돋친 듯 팔려 나가 베스트셀러가 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그리고 몇몇 대학에서는 사학(死學)이라는 신학문이 설치되어 관심을 모으기도 한다.

그런데 막상 말끝마다 죽음이라는 말을 앞세우며 살아왔던 한국인들은 어떤가. 장례식장으로 둔갑한 병원 영안실 풍경을 가보는 것만으로 그 해답은 명확해진다. 죽음은 막장의 허드레 배추처럼 처분되고 있는 것이다 곡성조차 들을 수 없게 된 죽음, 눈물도 경건함도 없는 죽음. 분향의 그 향내보다는 방부제 냄새가 더 짙은 죽음-1호, 2호의 숫자로 늘어선 병원 지하의 영안실이 근대 문명이 우리에게 안겨 준 바로 그 종착역 광경이다.

페르오오옹~~급함!!!!-_-;

그 예전에 있잔아요
제가 크랩풀셋하나 전에 샀던거 기억나죠?ㅡ,.ㅡ;;
그거시 말이죠–;;
그거 쓰시는분이 이제서야 확인햇는데..
뚜껑이 체인이 아니구 스터디드래요 글쎄- -+
지금이라도 반품원츄함-_-;;;
그러궁~!!
헤미님~!!오빠보러 계정끈어봐요–+
페르옹 몰래 야밤도주합시당 ㅡ,.ㅡ;;

아 그러구 퓨리분들도 잘 지내세염^^/
앞으로 동맹창으로도 뵙지못하겟군여…
사실 몇일 이사한다고 바빳어요.ㅋ

사랑은 Fury 처럼, 다옥은 저와 함께-_-;;;;;;;;;

재미있는 수학공식.[펌]

**ROMANCE MATHEMATICS 사랑의 수학공식

Smart man + smart woman = romance
똑똑한남자 + 똑똑한여자 = 로맨스
Smart man + dumb woman = affair
똑똑한남자 + 멍청한여자 = 바람
Dumb man + smart woman = marriage
멍청한남자 + 똑똑한여자 = 결혼
Dumb man + dumb woman = pregnancy
멍청한남자 + 멍청한여자 = 임신

** OFFICE ARITHMETIC 일에 관한 수학공식

Smart boss + smart employee = profit
똑똑한 상사 + 똑똑한 부하직원 = 이윤..흑자!
Smart boss + dumb employee = production
똑똑한 상사 + 멍청한 부하직원 = 생산
Dumb boss + smart employee = promotion
멍청한 상사 + 똑똑한 부하직원 = 진급!
Dumb boss + dumb employee = overtime
멍청한 상사 + 멍청한 부하직원 = 연장근무!

** SHOPPING MATH 쇼핑에 관한 공식

A man will pay $2 for a $1 item he needs.
남자는 꼭 필요한 1달러짜리 물건을 2달러에 사온다.
A woman will pay $1 for a $2 item that she doesn’t need.
여자는 전혀 필효하지 않은 2달러짜리 물건을 1달러에 사온다.

** GENERAL EQUATIONS & STATISTICS 일반방정식과 통계

A woman worries about the future until she gets a husband.
여자는 결혼할 때까지만 미래에 대해 걱정한다.
A man never worries about the future until he gets a wife.
남자는 전혀 걱정없이 살다가 결혼하고나서 걱정이 생긴다.
A successful man is one who makes more money than his wife can spend.
성공한 남자란 마누라가 쓰는 돈보다 많이 버는 사람이다
A successful woman is one who can find such a man.
성공한 여자는 그런 남자를 만나는 것이다.

**HAPPINESS 행복

To be happy with a man, you must understand him a lot and love him a little.
남자와 행복하게 살려면 반드시 최대한 많이 그 남자를 이해하려 노력해야하고 사랑은 쪼금만 해라..

To be happy with a woman, you must love her a lot and not try to nderstand her at all.
여자와 행복하게 살려면 반드시 그녀를 아주 많이 사랑하되 절대 그녀를 이해하려해선 안된다.

**LONGEVITY 수명

Married men live longer than single men do, but married men are a lot more willing to die.
결혼한 남자는 평생 혼자산 남자보다 수명이 길지만 결혼한 남자는 죽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다.

** PROPENSITY TO CHANGE 변화성향

A woman marries a man expecting he will change, but he doesn’t.
여자는 결혼후 남자가 변하길 바라지만 남자는 변하지 않는다.
A man marries a woman expecting that she won’t change, and she does.
남자는 결혼해도 여자가 변하지 않길 바라지만 여자는 변한다

** DISCUSSION TECHNIQUE  대화기술

A woman has the last word in any argument.
여자의 말다툼의 끝에는 항상 결론이 있다.
Anything a man says after that is the beginning of a new argument.
남자의 말다툼의 끝에는 다른 말다툼의 시작이 따라온다.

잠시 해본 알비알은

해볼만 하다는 결론이 내려지더군요
복귀전에 정식으로 분위기도 볼겸해서 토깽이님 워리어로 약 두시간정도 해봤는데
물론 알비온의 5초애드는 그다지 변화가 없지만
속수무책으로 당하는분위기는 아니더라구요
하는도중에 알비온이 포탈킾앞에까지 농성을 와서 싸우는와중에 히베가 난입해서 알비온&미드를 같이 처리 하더군요
물론 히베의 약진은 미드에게 부담으로 작용할소지가 매우 크지만 덕분에 알비온 견재효과도 상당하다고봅니다
한참 피크타임이 아니고 한국시간으로 1~3시정도까지 낮시간이라 사람이 없는탓도 있겠지만
일단은 이정도라면 복귀해서 마냥 헤딩하는수준은 아니겠더군요
아쉬운점이라면 안그래도 부족한 샤먼 지나가다 받던 엔젠이 너무 아쉽지만
잘 갖춰진 길드그룹이라면 충분히 해볼만하다라는 생각입니다
아무튼 오늘이나 내일 바로 계정 살릴생각이네요

울꼬맹이덕에 이메인에 고추참치 킬메가 떠버렸네요 ㅡㅡ;;
챈트 돌리고 멋지다고 뗘 나가다가 루리남매한테 바로 썰리고 징징거리고있더군요

#미드 전체동맹회의 내용 #

풰르길마 부재와 데쓰님의 어제 결석? 으로 부득이 제가 임시대표로 참석했습니다.
대략 18개 길드 대표가 참석했음.
일단 새로운 유령길드 “I Love Midgard” 길드가 동맹리더 길드로 창설됨.
동맹의 각 길드마스터의 계정에 알트캐릭으로 가입된 후 리더권한이 주어진다함.

새로운 동맹의 동맹창은 일단 예전처럼 사용과 내용에 제한이 없음. 단 과도한 내용등은 길드별로 규제하도록 하기로 함.
현재 Release 길드만 가입유보 혹은 불참 이고 퓨리는 일단 28일 오늘 결정하기로 했음.
그 외 대부분 길드들은 참여하기로 했다고함.

일단 어제 겜상에서 금일 28일 까지 길드원들의 최종의사 결정을 받겠다고 해두엇음.

훼르길마나 데쓰님은 오늘 바쁘더라도 잠시 팝 해서 Leadersinger 님이나 Griphis 님과 대화를 할수 있었으면 좋겠음.  
이 본문아래로 아직 의사표현 안한 길드원들은 리플로 표시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