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댄서 가이드

본댄서
(* 본댄서의 기본가이드는 다옥뉴스 미드가드/미스틱 게시판과 릴리즈 홈페이지(release.wo.ro)  자유게시판에 있습니다.)
(* 제가 키우는 동안 알게 된 것과, 다른 게시물도 참조했습니다.)

1. 소개
본댄서는 해골 및 죽은자의 영혼을 소환하여 컨트롤하는 전문가입니다. 그래서 다수의 펫을 조종을 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다른 펫클래스와는 달리 펫의 전문적인 요소가 강한 클래스입니다. 펫으로 먹고 산다는 느낌이 절실히 느껴진다고나 할까요?. 그리고 신캐릭의 특징처럼 솔로잉플레이의 특성이 아주 강하게 나타납니다. 뭐 그렇다고 파티플레이에 있어서 도움이 안된다는 소리가 아닙니다. 어떤 물건이든 사용자가 쓰기 나름이니까요.
본댄서는 다크니스/서프레션/본아미 계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본댄서의 중요스탯은 신앙이고, 둘째는 민첩, 셋째는 순발입니다.

2. 종족
본댄서가 될 수 있는 종족은 코볼트/트롤/발킨 입니다.
코볼트와 발킨은 체력이 적은대신 민첩이 높은관계로 캐스팅하는데 효율적입니다.
트롤은 민첩이 낮은 대신 기본체력이 높은관계로 서프가 주력이 어울릴것입니다.

3. 펫
본댄서는 다수의 펫을 조종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본댄서는 기본으로 본아미계열쪽에 보스펫이 나옵니다. 보스펫은 렙5/렙15/렙30/렙45에 변하게 돼는데 그 변하는 렙때마다 사용할 수 있는 부하펫의 수가 늘어나도록 되어있습니다. 렙5는 (보스펫1), 렙15는 (보스펫1+부하펫1), 렙30은 (보스펫1+부하펫2), 렙45는 (보스펫1+부하펫3)입니다. 여기서 알아두셔야 할 것은 모든 부하펫의 합계가 75렙을 넘어서질 못합니다. 즉, 렙45렙이 돼서 부하펫3마리를 뽑을때 부하펫의 렙의 합계가 75라는 수치를 못 넘습니다. 따라서, 부하펫을 뽑을때 자기가 투자한 스펠의 한도내에서 잘 조합을 하셔야 할것입니다. 그리고 펫의 레벨은 스펠에 따른 레벨이 아니라 펫의 실제 레벨을 말합니다. (펫의 레벨은 다옥뉴스에 있는 본댄서 가이드에서 참조하도록 하겠습니다.)
보스펫은 캐스터레벨의 80%의 레벨이고(45렙에 나오는 보스펫은 82%입니다.), 부하펫은 캐스터레벨의 75%이거나 스펠에 투자한 수치중 작은 레벨에 의해 정해집니다. 따라서, 캐스터가 50일때 보스펫은 41렙이 돼고 부하펫중 최고렙은 37렙이 됩니다.
(본아미48 서프24라면 본아미쪽에선 48렙짜리의 펫을 뽑을 수 있지만, 서프쪽은 24의 레벨캡에 의해 24렙에서 뽑을 수 있는 낮은 렙의 펫밖에 뽑지못합니다.)
펫의 조종은 보스만 가능하고 부하펫은 보스펫의 관리하에 있습니다.(펫의 인공지능을 믿지말라는 얘기입니다. -_-;;). 부하펫을 없앨때는 부하펫을 클릭하고 조종패널에서 해제를 누르면 됩니다. 만일 보스펫을 클릭하거나 노클릭상태에서 해제를 누르시면 그동안 뽑은 펫들이 전부 사라지게 될것입니다.

다음은 펫의 레벨캡 챠트입니다.

서모밍스펠          펫의 레벨캡
15 —————-> 15
18 —————-> 18
21 —————-> 20
24 —————-> 22
27 —————-> 24
30 —————-> 27
33 —————-> 29
36 —————-> 31
39 —————-> 33
42 —————-> 36
45 —————-> 37
48 —————-> 37

대장펫 레벨 = 0.8 x caster level (for 5,15,30레벨의 소환마법에서)
대장펫 레벨 = 0.82 x caster level (for 45레벨의 소환마법에서)
부하펫 레벨 = (0.75 x 캐스터레벨) 또는 (스펙레벨) 중 적은것이 선택됨

본댄서는 다수의 펫을 조종하기 때문에 펫들의 포메이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formation (line/triangle/protect) 란 명령어로 일렬종대/표준(삼각형태)/캐스터보호(캐스터 주위로 모임)형태로 진형이 형성됩니다. /spacing (normal/big/huge) 는 펫들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RvR에선 표준(triangle/normal)이 젤 좋은 것 같습니다.

4. 스펠
1) 다크니스
기본라인에 디디(콜드), 민첩디버프(인스)
특화라인에 스네어디디(콜드), 체력/힘버프(Pet), 펫(누커/디버퍼), 바디저항 디버프(인스)
가 있습니다.

누커펫은 바디계열의 DD스펠을 쓰고, 밀리공격을 받아서야 밀리공격에 들어가고,
디버프펫은 광역디버프를 캐스팅한후 밀리공격을 합니다.

다크니스가 주력스킬인 경우 아마 디디가 주력이 될것입니다. 펫의 효용성은 제가 키워보질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크다고 보기가 힘듭니다.

사냥 : 다크니스가 주력일 경우 사냥방식은 그룹플레이를 하는게 최선책일 것 같습니다. 솔로플레이는 힘들다고 봅니다. 보스펫이 몹을 붙잡고 있기도 힘들거니와, 디디데미지가 보스펫이 감당할 수준을 넘어서기 때문입니다. 역시 디디데미지에 의한 누커로서의 역할이 최선책이라 생각합니다.

RvR : RvR에선 펫보단 디디의 의존도가 더 높다고 보겠습니다. (가이드에선 다크니스쪽 펫은 열악하다는 평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특징적인건 바디저항 디버프로 인해서 서프계열의 흡혈이 더 좋아진다는 것 입니다. 광역이 없는 관계로 소규모 싸움에 적합할 것입니다.

(제 사견으로는 다크니스는 주력보다는 보조로서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디디의 뎀쥐도 스킬치보정을 해주면 RvR에서 써먹을 만큼은 나옵니다. 그리고 디디의 활용빈도도 높습니다. 서프의 인스흡혈은 4초라는 재간격이 있기도 하고 아미의 독은 뿌려놓고 적이 죽고 기다리기엔 적은 데미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서프레션
기본라인에 힘디버프(인스), 아머 버프(self), 루트, 데미지흡수(self)
특화라인에 생명흡수디디(인스), 헬스버퍼(Pet), 스네어(AE), 펫(힐러/버퍼), 데미지흡수버프
가 있습니다.

힐러펫은 힐링만 해주고 공격에는 가담하지 않습니다. 헬스리젼같은 버프를 하나 걸어줍니다.
버프펫은 공속과 데미지쉴드를 걸어줍니다. 공격에 바로 가담합니다. 원핸드형태입니다.
(두 펫이 걸어주는 버프의 성능은 펫 렙이 올라가도 증가하지 않습니다.)

서프레션은 주력이든 보조이든 아주 유용한 스킬라인입니다. 힐을 받을 수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사냥시든 RvR이든 엄청난 이득임에 틀림없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인스흡혈은 인스턴트라서 다른 캐스팅을 하거나 움직이는 행동을 하면서 발동되기 때문입니다. 이 차이점은 다른 캐스터와 확실한 구분을 짓게 해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데미지흡수버프는 다른 사람에게 걸어 줄 수 있기 때문에 본댄서의 유일한 타인용 버프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데미지흡수버프 마지막꺼인 9%짜리를 받게돼면 제 워리어로 했을때 400뎀쥐를 받을때 100정도를 덜 받게 해줍니다. 물론 체인인 흡수율에 9%가 올라가서 더 큰 효과가 나온 것이기는 합니다. (이 데미지흡수버프가 실제 아머의 흡수율과 동급인지는 실험을 해보지 않아서 모르겠습니다.)
헬스버퍼는 그 수치만큼 데미지를 막아주는것입니다. 초반 사냥시 힐 어그로를 막는데 쓰이는 거라고보심 됩니다.
스네어는 포커스(집중)마법으로 35% 느려지게 하는데 문제는 집중방식이다 보니 스네어를 걸면 자신은 움직이질 못합니다. 특수한 경우 빼고는 써먹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사냥 : 서프가 주력일때의 사냥방식은 힐링펫+인스흡혈의 조합으로 스스로 맞아가며 싸우는 것 입니다. 캐스터임에도 불구하고 그룹플레이시 자기렙보다 약간 낮은 사냥터에서 탱커도 가능합니다. 물론 데미지흡수버프로 그룹원들에게 해주므로 더욱 좋기도 합니다. 누커로서 혹은 탱커로서 다용도로 활용성이 높습니다. 대신, 장비품들의 내구도가 급격히 떨어지므로 수리에 만전을 기해야합니다. 솔로든 그룹이든 원활한 플레이를 할 수 있습니다.

RvR : RvR에선 때려도 때려도 죽지않은 클래스로, 적 스텔서들에겐 공포이기도 합니다. 어쌔씬계열이 첫 PA로 죽이지못하면 포기해야 할정도입니다. 다크계열이 보조라면 바디저항 디버프로 인스흡혈의 데미지를 높일 수 있습니다. 광역이 없기 때문에 소규모전에서 빛을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본아미
기본라인에 보스펫, DoT, 힐(Pet), BT(self)
특화라인에 DoT, AE DoT, 민첩/순발버프(Pet), 밀리 데미지버프(Pet), 펫(밀리/아처)
가 있습니다.

밀리펫은 원핸/투핸형으로 나뉘고 타운트나 위치기반 공격을 합니다.
아처펫은 거리가 충족돼면 활을 쏘고 근접에 적이 붙으면 근접공격에 가담합니다.

본아미는 주력스킬로 키웠을 때 제 효과가 발휘됩니다. 펫의 데미지버프도 쎈편이라서 사냥이든 RvR이든 효용성이 좋고 독은 비록 다른 클래스에 비해 절반수준의 데미지지만 기본과 특화라인의 독이 겹치기 때문에 상대를 괴롭히는데 아주 좋습니다. 독이 2개가 들어가면 해독도 2번 해야합니다. 그리고 매터계열이면서 샤먼의 독과도 중첩이 되므로 케이브샤먼과 같이 플레이를 할 때 더욱 좋습니다.

(제가 본아미가 주력인 관계로 좀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사냥 : 본아미계열의 사냥은 펫에 의한 어그로 유지 후 독에 의한 사냥방식으로 펫버프에 의해 보스펫이 어그로를 충분히 가져감으로서 솔로플레이에 탁월합니다. 보조로 서프를 올려 힐링펫이 나오게 되면 펫만으로도 사냥이 가능하게 됩니다. 50렙에 솔로로 레드까지도 무난히 잡습니다. 보통 투핸보스펫1+투핸부하펫1+힐링펫2 이런 구성이 젤 좋습니다. 힐링펫은 최저렙을 뽑을 수밖에 없지만 힐 하는데에는 부족함이 없습니다. 힐펫이 18/24/30….등으로 나오는데 24렙 1마리보다 18렙 2마리가 힐 하는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보스펫의 형태는 원핸드/투핸드로 나뉘는데 원핸드는 소드/액스/해머 투핸드는 소드/해머로 나뉘고 블럭, 패리, 이베이드, 스타일을 구사합니다. 부하펫도 원핸드/투핸드로 나뉘는데 원핸드일때는 방패는 안들고 있으며, 투핸드는 양날도끼, 클리버 2가지 형태입니다. 역시, 패리, 스타일을 구사합니다. 스타일은 오프닝/위치기반/타운트 등을 쓰고 효과상 단시간스턴/DoT/슬로우드등이 나타납니다. 즉, 사람이 쓰는건 펫도 쓴다고 보심 되겠습니다. 그렇다고 사람이 쓰는 데미지에 비할바는 아니겠지요 ^^;.)

여기서 힐링펫을 먼저 나오게 하느냐 아니면 나중에 나오게 하느냐에 따라서 좀 달라지게 되는데 힐링펫이 일찍 나오게 한다면 사냥자체는 편하긴 합니다. 대신 40근처에 가면 스킬의 부족으로 인해 빠른사냥이 힘들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40까지 본아미만 계속적으로 투자한다면 초반에 좀 힘들어도 빠른사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힐러펫(힐러캐릭을 말합니다)이 항상 있다면 상관없다고 보겠습니다. 어차피 본댄서도 파워를 쓰는 캐스터이므로 파워리젠과 기본버프만으로도 엄청난 효과를 얻기 때문입니다.
링크사냥방법의 팁을 한가지 알려드리자면, 펫들은 주인이 공격당하면 자기들이 공격하던 적을 나두고 주인을 돕기 위해 주인을 공격하는 몹을 1순위로 공격하게 됩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2-3마리의 몹을 잡는다고 칠 때 매즈나 룻을 걸고 달려오는 1마리에 디버프를 걸면 몹이 공격하고 그 후에 공격가능한 펫들은 주인을 공격한 몹만 원타하게 됩니다. 나머지 몹도 브랙하고 같은 방식으로 잡으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펫은 룻 걸린 몹은 공격하지만 매즈당한 몹은 공격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항상 그렇게 매즈를 안 깨는건 아니고 펫이 공격할 타이밍에 매즈를 하면 매즈에 상관없이 계속 공격하고 공격 딜레이동안 매즈를 하게되면 공격을 멈추고 다른펫이 치는 걸 도와줍니다. 이 두가지 펫의 성격을 이해하시고 사냥을 하시면 편한 사냥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RvR : 본아미본댄서의 RvR은 대규모전이나 대치전에서 빛을 발휘합니다. 광역독으로 인해 적 개스팅을 마비시킬수도 있거니와 단일독은 한번 걸리면 다시 걸리지 않는 반면에 광역독은 캐스팅할때마다 데미지가 들어갑니다. 여기서 독 데미지가 다른클래스에 비해 절반밖에 안되는데 이것은 펫의 데미지와 연관시켜 놓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독 데미지가 2개(기본+특화)가 들어갔을 때 펫의 어그로를 넘어서지 않도록 고안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렐름어빌중에 [와일드 아카나]인 DoT/디버프의 크리티컬 증가를 3단계까지 올려보았는데 크리티컬이 잘 터진다는 느낌입니다. 물론 몹을 상대할때와 사람을 상대할때는 약간 다른데 3단까지 올리면 터진다고 생각됩니다. 부족하다고 느끼신다면, 4단까지 올리셔도 좋을거라 생각됩니다. 저는 사냥도 자주하기 때문에 펫의 어그로를 유지하기 위해 3단까에서 멈추었지만, 나중에 더 올릴지도 모르겠습니다.
전투를 치르다보면 독 걸고 독 데미지에 의해 적이 죽기를 바라는 분은 적을 것입니다. 저는 독 데미지가 적게 혹은 크게 터지든 데미지를 준다는 것 보다 독에 의해 적의 행동(캐스팅)이 저지 당한다는거에 만족하고 룻을 이용해 아군 힐러/캐스터를 지원하거나 밀리들의 공격에 인스흡혈이나 다크디디(6+11)로 공격지원을 해주기도 합니다. 즉 본아미계열은 서포터로서의 역할이 더 큰 작용을 한다고 생각됩니다. 적 캐스터/힐러에게 독2방에 펫을 보내버리면 적의 진영은 충분히 혼란에 빠집니다.

5. 스펠 형태
1) 다크가 주력인 경우
* 다크50/서프20/본아미4 – 풀 다크로 50-특화디디가 주력이고 46-50%바디디버프 / 서프18-힐링펫이 나옵니다. 완전 공격누커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다크41/서프32/본아미14 – 다크41-특화디디와 34-30%바디디버프 / 서프29-흡혈디디와 30-힐링펫 32-3%흡수버프 / 그리고 본아미14-덱스/퀵 버프와 11-데미지버프를 얻을수 있습니다. 이 형태는 제가 생각해본 것으로 다크데미지는 스킬보정으로 충당하고 약간의 사냥능력을 갖춘거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 다크39/서프37/본아미4 – 위의 형태에서 다크를 약간 낮추고 서프를 강화시킨 형태입니다. 다크는 기본디디(50)를 쓰고 39에 누커펫이 나오고 / 서프37-흡혈디디와 36-힐링펫이 있습니다.

* 다크38/서프38/본아미5 – 위의 형태에서 누커펫을 포기하고 서프38-6%흡수버프를 얻은 형태입니다.

2) 서프가 주력인 경우
* 서프47/다크26/본아미5 – 서프 마지막 47-흡혈인스와 42-힐링펫 46-9%흡수버프가 나오고 / 다크22-15%바디디버프를 얻은 형태입니다.

* 서프47/본아미26/다크5 – 서프는 위와 같고 / 본아미26-광역독을 얻은 형태입니다.

* 서프47/본아미23(20)/다크13(17) – 서프는 위와 같고 / 본아미23-펫 데미지버프를 얻고(본아미20-광역독) / 다크 기본디디를 위해 스킬을 충당한 형태입니다.(다크가20/본아미17도 괜찮습니다.)

3) 본아미가 주력인 경우
* 본아미50/서프20/다크4 – 풀 본아미로 마지막 펫들과 50-펫데미지를 얻고 / 서프18-힐링펫을 얻은형태입니다.

* 본아미48/서프24/다크6 – 마지막 펫 48렙에서 멈추고 / 서프24-힐링펫과 22-흡혈인스를 얻은 형태입니다.(저자의 스킬형태입니다.)

* 본아미47/서프24/다크11 – 밀리펫이 42/48에서 나오는데 42의 실제렙은 36이고 48은 37입니다. 마지막 밀리펫을 포기하는 대신 다크를 조금 이라도 올려 RvR에서 다크데미지 보정에 보탬이 되게 하고파서 생각한 형태입니다.

* 본아미44/서프30(31)/다크8(4) – 본아미44-특화 단일 독을 얻고 47-광역독(마지막꺼)를 포기하고 / 서프30-힐링펫과 29-흡혈디디를 얻은형태입니다.

6. 글을 마치며
개인적으로 전 본아미본댄서로 사냥과 RvR을 같이 즐기고 있습니다. 아이템파밍을 위해선 아주 만족하고 있고 RvR에선 다크의 스킬을 조금 더 올렸으면 하는 바램이 있긴 합니다. 만일 리스펙이 된다면 본아미47/서프24/다크11로 바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서포터로서의 역할에 만족하고 있으며 저 자신 스스로도 재미있게 즐기고 있습니다. 본댄서 캐릭을 키운데 있어서 아주 만족합니다. 여태껏 쓴 글이 다른 게시판에 올라온 글들과 많이 다르지는 않지만 제 경험상 쓴 부분도 있기에 새로 본댄서를 하시려는 분들이 있으시다면 어느정도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스스로 겪어보시면서 캐릭을 경험하시는 것이 가장 좋다고 봅니다. 누가 뭐라하든간에 캐릭을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어떤 플레이가 나올지는 모르는 것 입니다. 스스로 자신감을 가지시고 재미있게 즐기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만.

발더 미드 – 50 본댄서 달로스

Feena (2003-05-19 12:45:04)  

좋은글 올려주신 달님 화이팅!!

개인적으로 길드에서 이런글이 많이 올라 왔으면 좋겠군요..  

훼르 (2003-05-19 14:45:48)  

오 달언니 샷 -_-  

SpuTniK Sweet Heart (2003-05-19 17:04:24)  

@ㅠ@ 아… 다크 본덴서나 켜볼까 @ㅠ@?  

Leidian (2003-05-21 20:34:48)  

와ㅡ,.ㅡ
글 읽으면서… 달로스님 어디서 퍼왔지 이러고 있었는데….
밑에 서명 보고 놀랐슴…
좋은 글 감사하고요 복사해서 딴데다 전파하죠 ㅡ,.ㅡ  

ps : 정보란 달님글 피나님이 옮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