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의 중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요소 : 설명)
* 힐 : 아군의 생존력을 연장시켜줌으로써 적에게 쉽게 죽지 않게 됩니다.
* 스피드 : 전장에서의 빠른 이동은 공격,방어에 있어서 필수 입니다.
* 메즈 : 전투를 유리한 상황으로 이끌기위해 필요합니다.
* 엔듀리젠 : 밀리의 공격력과, 전투중이나 이동중의 기동력을 높입니다.
* 비티 : 적군의 밀리 공격으로 부터 아군을 보호합니다.
* 버프 : 아군의 기본 능력을 상승시켜줍니다.
기본 2구성
[미드] 팩힐러-스칼드 –: 메즈, 스피드, 힐(약), 버프(약)
[미드] 팩44힐러-스칼드 : 메즈, 스피드, 힐(중), 버프(약)
[알브] 민스-클레릭 —-: 스피드, 힐(중), 버프(중)
[알브] 소서-클레릭 —-: 메즈, 힐(중), 버프(중)
[히브] 바드-드루 ——: 메즈, 스피드, 힐(중+), 버프(중+), 엔젠
기본 3구성
[미드] 팩힐러-샤먼-스칼드 –: 메즈, 스피드, 힐(약+), 버프(중-), 엔젠
[미드] 팩44힐러-샤먼-스칼드 : 메즈, 스피드, 힐(중), 버프(중-), 엔젠
[알브] 소서-민스-클레릭 —-: 메즈, 스피드, 힐(중), 버프(중)
[알브] 소서-팔라-클레릭 —-: 메즈, 힐(중), 버프(중), 엔젠
[히브] 바드-드루-와든 ——: 메즈, 스피드, 힐(상), 버프(상), 엔젠, 비티
기본 4구성
[미드] 팩힐러-멘딩힐러-샤먼-스칼드 –: 메즈, 스피드, 힐(중+), 버프(중+), 엔젠
[미드] 팩44힐러-멘딩힐러-샤먼-스칼드 : 메즈, 스피드, 힐(상+), 버프(중+), 엔젠
[알브] 소서-민스-클레릭-팔라 ——–: 메즈, 스피드, 힐(중), 버프(중), 엔젠
[히브] 바드-드루2-와든 ————–: 메즈, 스피드, 힐(최상), 버프(최상), 엔젠, 비티
기본 5구성
[미드] 팩힐러-멘딩힐러2-샤먼-스칼드 –: 메즈, 스피드, 힐(최상), 버프(중+), 엔젠
[알브] 소서-민스-클레릭2-팔라 ——–: 메즈, 스피드, 힐(상+), 버프(상), 엔젠
[히브] 바드-드루2-와든2 ————–: 무적
위의 구성표는 단순히 인원제한에 따른 중요 능력을 표기했을 뿐이나
꼭 숫자가 적은 구성에, 많은 능력을 가졌다고 해서 강력한 그룹을
나타내는건 아닙니다. 주 공격요소에 대한 부분은 제외했으며,
한캐릭터가 여러 능력을 수행할수 있는 경우 좋은점이 많아 보이나,
그 능력을 동시에 발휘하기엔 한계가 있기 마련이기 때문이죠.
풀그룹을 만들시 가장 효울이 좋은 구성을 가지게 되는 렐름순서는
힙,알비온,미드 순입니다.
3네츄럴을 가진 힙은 3명의 기본 구성만으로도 전투하기에 불편하지 않은
매끄러운 구성이 가능하며 또한 캐릭터 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본능력이 크게
중복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이러한 좋은 여건으로 타렐름에 비해
좀 더 여유있는 구성을 할수 있습니다.
알비온은 각각의 캐릭이 전문화된 능력을 가지고 있어 타렐름에 비해 개인의
능력이 부족해 보이나 사실 캐릭터가 가지는 성격상 가장적합한 능력을 보유
하고 있습니다. 단지 개개인이 가지는 능력의 수가 아닌, 캐릭터의 성격과
능력을 함께 본다면 풀그룹의 알비온은 상당히 조화롭고 강력한 그룹 구성을
할 수 있습니다. 소서는 다른 두 렐름과 달리 힐러형 메져가 아닌 공격형 메져
로써, 기본적인 능력이 두 렐름의 메져보다 월등히 좋습니다. 또한 다른 두
렐름의 엔듀리젠은, 항상 쫒겨 다녀야 하는 ‘힐러’에게 있는 반면 알비온은
‘밀리’이자 슬램을 가지고 있는 팔라딘에게 주어져서 각종 챈트까지 가지고
있는 이 팔라딘이란 클래스는 삼국렐름 최고의 어시스터 역할을 합니다.
민스역시 그 다재다능한 능력들을 특별한 제한 없이 적시에 발휘할수 있어서
아군이 적을 제압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좋은점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중요클래스 이외의 직업이 하나정도 있는건 그룹의 능력을 좀더
효율적으로 좀더 강한능력을 가지게 되는 반면, 한그룹에 비 중요클래스가
둘 이상 있는건 비효율적인게 사실입니다. 이로 인해 많은 소외클래스들이
생겨나게되었고, 효율적인 전투를 수행할수 있는 그룹을 만드는데에 있어서
다른 두 렐름에 비해 그룹을 구성하기가 상당히 어려운면이 있습니다.
미드의 그룹 구성은 힙보다는 조금 어려우며, 알브보다는 조금 수월한 중간
정도의 난이도를 보이입니다. 하지만 미드는 CC의 대표급이라 할 수 있는
광역메즈, 광역루트를 단 두클래스뿐이 시어에게 집중되어 있어서 CC를 활용
하는데에 상당한 부담감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힐러는 크게 메져와 힐러로
세분화 되며, 샤먼 또한 오그라인과 케이브라인을 얼마나 투자하느냐에 따라
그 직업의 성격이 매우 틀려집니다. 이로 인해 오그라인을 투자해서 엔젠과
버프를 공급해야 하는 샤먼클래스는 많은 수의 샤먼 플레이어가 강력한 광역
루트를 가진 케이브라인을 버리게 되는 상황을 만들었습니다.
CC의 제왕이라고 불리는 팩힐러 역시 전투 내내 쫒기게 되는 상황이 많아짐
으로 인해 결국 초반의 메즈를 제외하곤 다른 능력을 쓰기조차 힘듭니다.
전투를 결정짓게 만드는 이러한 중요 요소들이 모두 시어에게 몰려있으며
이들의 능력을 너무 오랜기간 동안 의존하게 되어 다른 클래스로 적절하게
분산시키지 못함으로 인해 전투중 힐러와 샤먼이 단 두명 만이라도 제거 될
경우 그룹의 능력은 삼국렐름중 최하를 달리게 됩니다.
서버의 평균적인 랭크가 올라가면서 좋은 방어형 그룹 RA를 얻는 두 렐름에
비해 빈약한면을 보이는 미드는, 다른면에서 좀더 그룹을 강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순히 아머상성에 따른 무기선택, 최고의 데미지를 얻기위한
노력보다는 그룹과 함께 협력해서 단시간에 최고의 공격력을 끌어올릴수
있는 그룹 단위의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두 렐름의 좋은 RA를 극복하려면
앞으로의 미드는 개인의 능력 보단 그룹의 전투 스타일에 맞춰 무기,스펙,
RA를 투자해야 합니다. 프리벤트와 해머의 선택은 매우 훌륭한 선택이며
룬마의 디법+디디 누킹은 더이상 혼자 적 클래스를 손쉽게 제거하기 위한
스펙이 아닙니다. 미드의 모든 미스틱은 콜드속성의 베이스 디디를 가지고
있으며 적당한 다크니스라인의 투자는 룬카빙룬마의 콜드 디법과 함께 적에게
더욱 더 강력한 데미지를 선사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스마의 다크특화라인은
베이스라인 디디보다 강력한 90%의 흡수율을 보이는 흡혈디디가 있으며,
룬마의 다크특화라인은 무려 219의 가치를 가지는 강력한 특화디디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과 룬카빙라인을 탄 룬마의 조합은 어느렐름보다 강력한 단일
타겟 화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언제나 아폴론님 글보면 머리에 쥐가 나네요..
하지만 정말 좋은글들이라 생각됩니다.
군대 가신다네요..내일인가…